따릉이 10년 전인가부터 이용했던 것 같아요. 저는 자전거를 못 타는데 딸아이가 초등학교 때부터 타서 가끔 대여했거든요. 느려터진 스마트폰과 뭔지 모를 답답한 어플 때문에 매번 왜 안 돼? 하면서 다시 사용법을 검색하곤 했습니다. 자전거 앞에서 30분간 씨름하기도 했고요. 지금은 딸이 스스로 탈 수 있지만 물어볼 경우를 대비해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이렇게 타는 거야 알려주려고요. 여러분도 늘 그렇죠? 저 초록이는 어떻게 타는 거야? 그래도 사람들 이젠 많이 타더라고요. 총정리해보겠습니다.
따릉이 사용법과 반납방법
제가 정리할 것도 없습니다 사실. 맨날 어디에 있더라 사용법이 하면서 찾았거든요?
딱 여깄습니다. 그냥 매번 찾지 마세요. 글을 이렇게 간단히 쉽게 쓰냐? 하시겠지만 ㅎㅎ 그 외에도 다른 정보들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하지만 본론은 사용법이죠
글도 정성인데 제가 일일이 다시 만들까? 했는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것보다 더 자세할 순 없어요. 반납방법은 한 줄로만 나오죠?
그냥 잠금장치를 다시 채우면 반납되었습니다라는 화면이 뜨고 카톡으로도 옵니다. 너무 간단해서 없는 거예요.
따릉이와 대중교통 환승마일리지
따릉이 앱 설치하고 대여/반납하시는 게 익숙해지시면 제가 평소에 이용하는 대중교통카드를 앱/메뉴/내 정보/마일리지/카드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그럼 마일리지가 쌓이는데 그 마일리지는 365일권 사용자라면 누구나 적립하고 사용하실 수 있어요. 한 번의 등록으로 적립이 되니 꼭 등록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따릉이 요금
따릉이 요금은 1시간에 1000원이라고 외우시면 간단할 거 같아요. 자세한 요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정기권(회원전용) | 일일권 | |||
상품 | 종별 | 1시간권 | 2시간권 | 1시간권 | 2시간권 |
7일권 30일권 180일권 365일권 |
3,000원 5,000원 15,000원 30,000원 |
4,000원 7,000원 20,000원 40,000원 |
1,000원 | 2,000원 | |
추가요금 | 초과시 5분당 200원 |
초과시 등록된 카드로 요금이 결재가 될 것이고 미결재된 경우는 다음이용에 제한이 걸린다고 합니다.
자전거도로 스마트 서울맵
따릉이는 제로페이 결제도 되고 외국인모드로 대여도 된답니다. 제가 자전거 도로를 피씨로 보려고 시도해 보는데 이 사이트 PC로도 로딩이 오래 걸리네요. 밑에는 캡쳐본 이미지이지만 지도로 연결이 됩니다.
저는 막상 자전거를 못 타면서 자녀 때문에 이것저것 알게 되는 거 같아요.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사용법과 자전거도로맵 마일리지적립해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미 접근성이 높아 다들 아시겠지만 가끔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겐 매번 헛갈리는 따릉이 이용법 이번엔 정리해서 즐겨찾기 해놓는 것 어떨까요?
'복지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장급여, 상병급여 [of 실업급여] / 재취업신고, 재실업신고 [of 실업급여] (0) | 2024.05.29 |
---|---|
실업급여 자주묻는 질문 7가지 (0) | 2024.05.29 |
조기재취업수당 취업촉진수당 of 실업급여 (0) | 2024.05.29 |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수급조건 및 신청방법 (현 수급자 리뷰) (0) | 2024.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