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와 정책

실업급여 금액 계산기 수급조건 및 신청방법 (현 수급자 리뷰)

복지와 정책 2024. 5. 27.

저는 오늘이 8차 실업인정일이며 마지막 실업급여 수급일입니다.  나 이제 어쩌지 ㅎㅎ  한 4,5차에서 취업할 줄 알았네요.  근데 요새 취업난과 제 경력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직장을 구하기란 진짜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사실은 차치하고 제가 아는 데로 그동안 모아 온 서류를 보고 아는 것과 함께 말씀드릴게요.  저는 직장에서도 제가 실업급여를 신청해 주고 직원들에게 신청사실을 알려왔던 입장으로 근무를 했어서 사측과 수급자 모든 입장을 대략 알고 있습니다.  그럼 일단 수급 조건부터 알아볼까요?

 

 

실업급여 금액 알아보고 신청하기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한 근로자라면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해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퇴직하고 12월 안에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실업급여 대상 조건 및 실업급여 계산

 

  • 고용보험 사업장에서 실 근무일로 18개월간 180일 이상을 근무하셨고 불가피한 사유에 해당하는 해고, 권고사직, 계약만료, 정년퇴직 등으로 실직하셨다면 받으실 수 있는데요.  30*6개월 =180일이라고 생각하셔서 6개월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실제 근무한 일수로 계산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대략 8개월 정도는 다녀야 받을 수 있다 생각하셔야 합니다.  
  • 자발적 퇴직과 중대한 귀책사유로 해고를 당한 경우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저처럼 상시근로자인 근로소득자 외에 예술인 구직급여, 노무제공자 구직급여, 일용근로자 구직급여, 자영업자 실업급여에 대해서는 이 글의 기재한 내용과 상이한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 실업급여 계산기 로 대략의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1일 평균임금의 60%이며 상한액은 66,000원 하한액은 63,104원입니다.

 

실업급여 지정일수

 

  1년 미만 1년이상~3년미만 3년이상~5년미만 5년이상~10년미만 10년 이상
50세 미만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 이상 /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회사에서 해줄 일 - 퇴직일 이후 실업급여 신청하기

 

퇴직을 하고 바로 다음날 가면 안 되고 저는 직원들한테 보름정도 있다가 가라고 말을 합니다.  이직확인서 처리기간을 고려해서 하는 말인데요.  회사 측에서 전자신청을 하게 되면 빠르면 익일 처리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공무원도 교육이나 담당자가 하루라도 자리를 비우고 주말이 끼게 되면 이직확인서를 사이트로 제출했어도 3일-4일은 걸리더라고요.  전자신청보다 팩스신청이 간단해서 회사에서 그렇게 하게 되면 종이신청서는 7일 정도 걸리기도 하고요.  사측에서 퇴직처리며 퇴직금처리 이직확인서 처리를 퇴직하고 바로 해주시면 좋겠지만 일이 바쁘면 그렇게 하기 어려워 스케줄에 맞춰 신청을 한다면 시일이 늦어지고 또 보정하라고 연락이 오면 더 느려집니다.  그래서 15일 후에 주소지 고용보험센터를 가시라고 안내를 드리게 됩니다.

 

내가 해야할 일

  • 고용보험 사이트 에 가입 후 로그인을 합니다.  모바일이 편하신 분들은 '고용보험 모바일'이라는 앱을 깔아주세요.  모바일도 아래 화면과 거의 같은 포맷이네요.

  • 첫 번째 보이는 네모박스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먼저 듣고 고용보험 센터에 가시면 됩니다.  못 들었으면 가서 신청하고 들으면 될 것 같네요.
  • 회사 인사팀에서 실업급여(이직확인서 제출) 신청했고 내가 위의 온라인 교육을 듣고 고용보험에 신분증을 들고 가면 신청이 완료되고 1차 때 교육이 있으니 일주일 뒤에 오라고 합니다.  그때가 7일간의 급여를 주는 1차 실업인정일이 되는 건데요.  1차부터 온라인 실업인정일로 대체됐음 했는데 실제 출석을 하라고 해서 출석을 했습니다. 
  • 저는 오프라인 출석 실업인정 :1차, 4차, 7차에 출석해서 실업인정을 받았습니다. 
  • 그 외에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했고요.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은 초록색 박스입니다.  2차, 3차, 6차, 8차를 초록박스를 눌러 신청을 했습니다.

 

신청까지의 모든 고비를 넘기셨다면 그 후에는 너무 쉽습니다.  왜냐.  문자가 실업인정일 이전에 3번 정도 옵니다.  잊기가 힘들어요.  그래도 날짜를 알고 싶으시면 1차 때는 2차 실업인정을 알려주시고, 2차 때는 3차 실업인정일을 알려주시니 스케쥴러에 쓰면 됩니다.  앱이나 웹에서도 마이페이지에 나올 거예요.  근데 볼 것 없이 문자가 너무 친절히 알려주니 잊지 마시고 실업인정 신청을 하세요.  시간은 엄수이니 안내받은 시간에 하시면 됩니다.  보통 전날 밤(예.1/1 0시) 12시부터 실업인정일 당일 11시AM까지 제출해야 해서 저는 12시 밤(0시)에 했어요.

 

실업인정 온라인 신청

 

실업급여 신청까지 다 하고 2차부터는 온라인으로 신청을 해야 하죠?  온라인 신청방법은 2차, 3차, 6차, 8차 같지만 개수가 다릅니다.  몇 개라고 알려주시니 갯수를 잘 맞춰서 신청하면 됩니다.  만약에 2개면 2개의 이력서를 넣은 증명으로 구인정보pdf, 취업활동증명서pdf를 1개의 세트로해서 2세트를 첨부파일로 제출해야 합니다.  저는 점점 갯수가 늘어서 8차 때는 5개의 구직활동을 증명해야 했네요.  

 

1. 고용보험 사이트에 로그인을 합니다.

고용보험 로그인

2.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 누르기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버튼 누르기

3. 동의서 서명

동의서 서명

4. 재취업활동 첨부파일 업로드 및 기입하기

빈칸 채우기 및 구직활동 서류 첨부하기
마지막 실업인정일 ㅠㅠ

5. 제출버튼 안 누르면 제출이 아니얌.

제출 안 누르면 안 돼요~~

6. 완료 후 카톡 오나 확인하여 더블체크

제출 누르고 카톡 받고 확인 합니다.

 

조기 재취업 수당

저도 빨리 취업해서 조기재취업 수당을 받으려고 했는데 40 초반의 나이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네요.

실업급여 급여일수의 절반 이상을 남기고 재취업을 하면 절반을 조기 재취업수당으로 줍니다.  재취업한 곳에서 12개월을 근속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재취업수당 지급 제외

  • 재고용 제외
  • 합병/분할 법인 재고용 제외
  • 실업신고일 이전에 확정된 이직 제외
  • 실업신고일부터 14일 이내 재취업 제외
  • 고임금 직장에 취업한 경우 제외(월 574만 원)
  • 공무원 제외

재취업수당 청구시점

재취업 후 12개월 다니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재취업수당에 대한 것은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2024.05.29 - [복지와 정책] - 조기재취업수당 취업촉진수당 of 실업급여

 

조기재취업수당 취업촉진수당 of 실업급여

실업급여 대해 알아보는 글을 쓰고 나서 조기재취업 수당에 대해 자세히 적어보려고 다시 글을 씁니다.  조기재취업수당이란? 실업급여의 실업기간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재취업을 장려하는

onto.amusedlives.com

2024.05.29 - [복지와 정책] - 실업급여 자주묻는 질문 7가지

 

실업급여 자주묻는 질문 7가지

지난 글에서 실업급여와 조기재취업수당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실업급여에서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다른 사람이 실업인정을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실업인정은 신

onto.amusedlives.com

2024.05.29 - [복지와 정책] - 연장급여, 상병급여 [of 실업급여] / 재취업신고, 재실업신고 [of 실업급여]

 

연장급여, 상병급여 [of 실업급여] / 재취업신고, 재실업신고 [of 실업급여]

실업급여의 기타 상황에 대해 마지막으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연장급여, 상병급여 [of 실업급여] / 재취업신고, 재실업신고 [of 실업급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 중 연장급

onto.amusedlives.com

 

 

고용보험에 처음 간 날 많은 안내지를 받습니다.   이제는 문자도 여러번 미리오고 놓치는 경우가 별로 없으니 신청만 된다면 실업급여 수령이 어렵지 않을 거에요.  저는 직전 회사에서 1년 그 이전 회사에서 5년반 일하고 실업급여를 받는 것인데 직전회사에서 이직확인서를 제출한 것만으로도 근무기간이 5년이상으로 산정이(고용보험 내에서 알아서 조회됨) 됐거든요.  내가 일했던 기간이 모두 알아서 계산이 됩니다.  중요한 건 실업급여가 잘 신청이 됐는지 여부가 중요해요.  그러면 두껍게 받은 안내지가 어느 정도의 궁금함을 해결해 줄 겁니다.  실업급여 신청하셔서 안정적인 취업활동 기간을 보장받으세요~~

 

 

댓글